발사 준비 마친 누리호…이 시각 나로우주센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누리호의 2차 발사가 바로 오늘 오후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쯤 어느 정도 준비가 진행되고 있는지 발사장이 있는 곳이죠,<br /><br />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연결해서 관련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민혜, 김장현 기자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 여기는 나로우주센터입니다.<br /><br />어제 발사준비를 모두 마친 누리호, 오늘 이제 발사 예정시각까지 남은 과정들을 모두 마치고 이상이 없으면 우주를 항해 날아오르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번엔 성공할까, 이곳의 현장 분위기도 점차 달아오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장현 기자, 어제 누리호 점검 이상없이 잘 끝나지 않았습니까?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에는 바람도 도와주지 않았고, 발사 준비과정에서 센서 이상도 감지되기도 하고 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어제는 순조롭게 모든 과정이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발사대 이송과 기립 등 발사 준비작업이 계획됐던 시간 내에 다 마무리가 됐고요.<br /><br />장마 걱정이 있었는데 이 날씨 변수도 한시름 덜게 된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저희가 지난 일요일 다시 이곳 고흥을 향할때만 해도 이곳 고흥일대에 약간의 비소식이 있었거든요?<br /><br />그런데 어제도 마찬가지고 오늘도 비가 온다는 예보는 없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오후 늦게 발사관리위원회가 열렸는데 오늘 강수 가능성 매우 낮고 바람도 초속 5미터 이하로 불어서 발사를 위한 기상조건은 만족시킬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도 날씨가 어쩌고 저쩌고~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날씨가 도와주는 상황에서 이제 발사체 자체 준비과정에서 이상만 없다면 오늘 오후 4시로 예정된 발사, 무사히 이뤄지지 않을까 기대를 해봅니다.<br /><br />정확한 발사시각은 오늘 오후 2시 반에 발표가 되는데요.<br /><br />기술적인 준비상황과 기상상황,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결정됩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자, 그럼 이제 발사가 시작되면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우주로 날아갈까,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실것 같은데요.<br /><br />단 분리부터 위성 투입까지 정해진 시간대로 또 목표 속도대로 완벽하게 조화를 이뤄야지 성공할 수 있는 구조더라고요.<br /><br />김 기자가 설명을 좀 해주시죠.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네, 일단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했냐 실패했냐 하는 것은 이륙하고 30분 뒤에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3단에 실린 위성이 분리된 뒤 관련 데이터를 지상에서 받아서 확인하는데까지 그정도 걸리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일단 시나리오는 이렇습니다.<br /><br />이륙하고 2분 7초쯤 지나면 우선 가장 무거운 1단이 분리가 됩니다.<br /><br />발사체가 계속 날아가면서 이륙 3분 53초쯤 지나면 위성을 감싸는 페어링이 분리가 됩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1단이 분리되고 나면 순서대로 2단, 3단 이런식으로 분리될 것 같은데 페어링이 먼저 분리되는 건 무슨 이유 때문이죠?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무엇보다 발사체 가속을 위한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인데요.<br /><br />그만큼 무게가 줄어들면 연료 대비 비행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그 뒤 2단이 분리되고, 3단에 붙은 성능검증위성, 모형위성이 차례대로 분리되는 시각이 발사 후 16분 7초될 때입니다.<br /><br />이 상황을 점검해서 성공여부를 가리는 시간까지 합하면 한 30분정도 되는 것이고요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지난번 1차 발사때는 위성이 목표 궤도, 그러니까 고도 700km에는 도달했는데 궤도를 맴돌기 위한 목표속도 인 초속 7.5km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바람에 궤도에 안착하지 못하고 지구로 떨어져버렸죠.<br /><br />3단 엔진이 내부 구조에 문제가 생기면서 연소시간이 46초 부족해지는 바람에 안타까운 결과를 받아들었었습니다.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당시 연구진들이 약 두 달 정도에 거쳐 문제점을 찾고 보완 작업도 모두 다 마무리했는데 이건 나로호때와는 달리 모든 부분이 우리 순수 기술로 만들어진 발사체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하더라고요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비록 완벽한 성공은 아니었지만 그런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친 것이 오히려 지금 더 우리기술을 탄탄히 다지는데 도움이 됐다, 이렇게 평가하는 연구진들도 계셨는데요.<br /><br />지난주 발사 준비과정에서 발견된 센서 이상문제를 생각보다 손쉽게 해결할 수 있던 것도 다 노하우가 축적된 덕분이다라는 설명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이번 누리호 발사가 성공하면 1.5톤의 실용급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자력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7번째 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된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지난번 1차 실패의 문제점도 보완했기 때문에 이번 2차 발사에 대한 성공 기대감 더 커갈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김 기자, 여기에 이번엔 실제 위성이 실리니만큼 이 위성이 언제 어떻게 교신을 하게 되는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것처럼 이번에 누리호에 올려지는 위성, 여기에는 국내에서 개발됐지만 아직 우주상에서 검증은 해보지 못했던 부품 몇가지와 대학생들이 개발한 큐브위성 4개가 실리는데요.<br /><br />이 위성의 첫 교신은 발사 이후 42분쯤 이뤄집니다.<br /><br />바로 남극 세종기지에서 첫 교신을 하게 되는데 쉽게 말해 "나 여기 있어."라고 신호만 보내주는 정도라고 합니다.<br /><br />한 4시간 정도 지나면 이 위성이 제대로 된 자세를 잡고 궤도를 돌고 있는가가 확인이 된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이렇게 일주일 정도 궤도를 잘 돌고 있는게 확인되면 그 다음 이틀 간격으로 큐브위성이 하나씩 우주로 사출이 됩니다.<br /><br />이후에 원래 위성에 남아있는 우주핵심기술 탑재체들에 대한 검증이 진행이 되는 것이죠.<br /><br />[김장현 기자]<br /><br />큐브위성은 작지만 나름대로의 중요한 역할이 있더라고요.<br /><br />서해상에 미세먼지를 관측한다든지 초분광 카메라로 지구를 관측한다든지 등의 역할이 있던데 우리 발사체로 처음 쏘아올리게 되는 만큼 학생들의 기대감도 커보였습니다.<br /><br />[김민혜 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이곳도 그렇고 인근의 전망대에도 오늘 누리호가 발사되는 순간을 지켜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왔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연구진들의 땀과 노력이 담긴 누리호가 무사히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 저희도 볼 수 있게 되길 기대해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나로우주센터였습니다.<br /><br />#한국형발사체_누리호 #발사관리위원회 #산화제 #기립장치 #성능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