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드디어 성공했습니다. 설계 제작 시험 발사 모두 우리 힘으로요. <br> <br>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차 발사에 성공하면서 실용 위성을 자체적으로 쏜 세계 7번째 국가가 됐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10월 1차 때는 비행은 했지만, 궤도에 올려놓질 못했었죠. <br> <br>이번엔, 고도 700㎞의 궤도에 올라가, 초속 7.5km 빠른 속도로 지구 주변을 안정적으로 돌고 있습니다.<br><br>그야말로 성공인거죠. <br> <br>이제 시작입니다. 9년 뒤엔 달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연결해보겠습니다.. <br><br>이철호 기자! 성공 맞는 거죠? <br><br>두번째 도전만에 성공한 거잖아요. 과정이 쉽지는 않았죠?<br><br>[리포트]<br>A1. 네, 먼저 감격스러운 발사 장면 보고 오시죠. <br> <br>[현장음] <br>"3, 2, 엔진점화 이륙!" <br> <br>대지를 울리는 엔진 소리와 함께 누리호가 창공을 가르며 날아올랐습니다.<br><br>누리호는 발사 2분 3초 만에 1단 로켓을 분리하고 페어링, 2단 로켓을 차례로 떼 내면서 목표 궤도인 고도 700㎞까지 올라갔습니다. <br> <br>마침내 발사 12분 55초부터 성능검증위성과 모조품 위성을 차례로 분리하기 시작했는데, 두 개 모두 목표한 궤도 진입에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[이종호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] <br>"2022년 6월 21일 오늘 16시에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 궤도에 투입되어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습니다." <br> <br>이어 성능검증위성과 남극 세종기지 간의 첫 교신도 성공했는데요. <br><br>위성에서 받은 GPS 정보를 토대로 위성 자세와 배터리 상태 모두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<br> <br>A2. 아무래도 첫 발사에 실패했기 때문에 연구진도 신중하게 발사 준비를 해왔는데요. <br> <br>당장 이번 발사도 날씨와 센서 문제로 지난주 두 차례나 연기될 만큼 우여곡절을 겪고 나서야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.<br> <br>특히 누리호는 엔진을 러시아 기술로 만든 나로호와 달리, <br> <br>설계부터 시험, 발사 등 모든 과정을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해서 의미가 더 큰데요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도 연구진과 화상통화를 갖고 기쁨과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.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] <br>"여러분께 정말 감사드리고 앞으로 우리의 항공우주산업이 이제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국가로서 더욱 우주 강국으로서 발전할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합시다." <br> <br>항공우주연구원은 내일 새벽 3시쯤부터 대전에 있는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을 통해 위성의 세부상태를 확인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채널A 뉴스 이철호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이철호 기자 irontiger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