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저희가 당시 월북 발표에 의혹을 제기하는 건 몰아간 듯한 정황들이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당시 해경은 월북으로 판단된다며 이런 이야기까지 했었습니다. <br> <br>[윤성현 / 당시 해경청 수사정보국장(2020. 10. 22)] <br>"정신적 공황 상태에서 현실 도피 목적으로 월북한 것으로“ <br> <br>정신적인 문제까지 언급했는데, 해경 내부에서도 전문가 소견도 없이 단정짓는데 우려가 컸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해경은 "실종 공무원이 월북한 것으로 판단된다"는 3차 수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도박 사실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[윤성현 / 당시 해경청 수사정보국장(2020. 10. 22)] <br>"도박에 깊이 몰입돼 있었음을 저희가 확인했고, 특히 각종 채무 등으로 개인회생 신청, 급여압류 등 절박한 경제적 상황에서…" <br><br>이대준 씨의 정신적인 문제까지 거론하며 자진 월북으로 결론지었습니다. <br> <br>[윤성현 / 당시 해경청 수사정보국장(2020. 10. 22)] <br>"실종자는 정신적 공황 상태에서 현실 도피 목적으로 월북한 것으로…" <br> <br>하지만, 국가인권위원회 조사에서 해경의 부실 수사 정황이 그대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월북 이유 중 하나로 정신적 공황 상태를 들었지만, <br><br>전문가에게 심리 감정을 의뢰한 시점은 정작 발표 다음날이었습니다. <br> <br>순서가 뒤바뀐 겁니다. <br> <br>인터넷 도박 중독에 따른 월북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문가 7명에게 전화로 자문을 구했지만, 공황상태란 표현을 사용한 전문가는 1명이었습니다. <br><br>한 해경 간부는 인권과 사생활 침해가 우려되는 만큼 도박 빚을 발표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고, 전문가 자문 내용이 불확실한 만큼 정식 소견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상부는 이를 묵살하고 발표를 강행했다고 취재진에게 털어놨습니다.<br> <br>인권위는 해경의 발표가 "추측과 예단에 기초한 것으로 보인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