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2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2년 6월 22일 (수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김종혁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, 서정욱 변호사,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, 이승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저 메시지를 제가 다시 한번 꼭 읽어봐야 될 거 같아요. 지난 5년 동안 바보 같은 짓 안 하고 더욱 탄탄히 원전을 구축했더라면 전 세계적으로 경쟁자가 없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. 이도운 위원님, 이 메시지를 더 할 필요도, 덜 할 필요도 없이 탈원전에 대한 윤 대통령의 문제의식이 확실한 거 같은데요?<br><br>[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그렇죠. 바보짓이 자칫 조금 거칠게 들릴 수도 있지만 아마 윤석열 대통령 입장에서는 달리 표현할 수가 없었을 겁니다. 문재인 정권 5년 동안에 많은 그 실정이 있었지만 탈원전은 이른바 우리가 국익 자해라고 표현을 하죠? 무슨 소리냐면 앞으로 10년간 우리가 조금 강점이 있는 소형 모듈 원자로의 그 시장 규모가 한 400조에서 500조, 전체 원전 규모가 한 1000조 정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. 그런데 전 세계에서 원전을 수출할 수 있는 나라는 딱 다섯 나라입니다. 미국, 프랑스, 중국, 러시아 그리고 대한민국입니다. 그런데 미국하고 프랑스는 최근 원전 수출에는 그렇게 힘을 기울이지 않아요. <br><br>그래서 지금 중동하고 동유럽에서 굉장히 원전을 많이 짓는데 대부분의 시장에서 러시아하고 중국이 지난 5년간 원전 수주를 거의 쓸어가다시피 했습니다. 그런데 사실은 그 공사 비용, 기간 그리고 공사 완공 후에 가동률 보면 우리나라가 압도적으로 경쟁률이 높아요. 그러니까 그 시장을 버린 거예요. 그러니까 세상에 그런 바보짓이 어디 있습니까. 그냥 시장만 버린 게 아니죠. 우리 원전 생태계 완전히 무너졌죠. 두산중공업 같은 전문 기업들 다 고사 위기에 몰려들었고 대학의 학과의 학생들이 모이지가 않고 이러기 때문에 지금 아까 윤 대통령 표정 보면 심상치가 않죠. 아마 이 부분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아마 문 정부의 책임을 묻는 한편, 본인이 직접 세일즈 해서 앞으로는 그 원전 수출에 적극적으로 아마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윤하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