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룟값이 폭등하면서 전국의 축산 농가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양돈 농가에는 전염병까지 돌아 축산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허성준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북 영천의 양돈농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현장 상황이 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이곳에서는 돼지 7천여 마리를 키우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사룟값이 폭등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월 1kg에 460원 하던 사룟값이 최근 700원으로 급등한 겁니다. <br /> <br />사룟값이 50%나 오르면서 손익분기점 맞추기가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사료용 곡물의 자급률은 1%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주원료인 옥수수 수입 가격이 폭등하면서 사룟값도 덩달아 뛰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사룟값이 폭등하는데 '돼지 설사병'까지 극성을 부리면서 양돈농가들은 최악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우를 기르는 축산농들도 이중고, 삼중고를 겪기는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사룟값이 지난해보다 평균 30% 가까이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수입 건초에서 축사 바닥에 까는 톱밥까지 오르지 않은 게 하나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 곡물가가 계속 오르면서 사료업체들은 하반기에 최소 2~3번의 추가 가격 인상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한우 사육 두수는 적어도 내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눈앞이 캄캄합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는 배합사료를 대체할 수 있는, 건초나 짚으로 만든 '조사료'의 생산을 늘리는 데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사료구매자금으로 2천3백억 원을 저리 융자로 지원하는데 금리를 기존 1.8%에서 1%로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기존에 대출이 있는 상당수 축산 농가들은 추가 담보 제공 여력이 없거나 신용 한도 부족 등으로 필요한 자금을 제때 지원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북 영천에서 YTN 허성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허성준 (hsjk2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62314032089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