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차 발사에서 성공한 누리호는 앞으로 4차례 실용 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인데, 누리호 3차 발사부터는 주요 진행 과정을 민간기업으로 이관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누리호 6차 발사가 끝날 때는 제작부터 발사 운용까지 전체를 맡는 '한국판 스페이스X' 같은 발사체 전문 기업을 완성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두 번째 시도에서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 개발에는 국내 300여 개 기업이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기업은 각각 엔진과 탱크, 동체 제작과 총조립 등을 맡았는데, 설계와 개별 기업 관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담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쉽게 말해 부품별로 주어진 도면대로 만든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내년 초로 예정된 누리호 3차 발사부터는 이 같은 항우연의 역할을 민간 기업이 맡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올 하반기 체계종합기업 1곳을 선정해 발사체 설계와 제작, 시험과 발사 운영 등 전주기를 총괄·운영하는 기업으로 키울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초로 예정된 누리호 3호기는 이미 개발됐기 때문에 체계종합기업은 발사 운영 과정에 참여해 발사 운영 노하우를 배웁니다. <br /> <br />[김기석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 : 체계종합기업이 선정되면 항공우주연구원이 가진 기술을 자연스럽게 민간으로 이전하게 되겠습니다. 이전을 해서 3차 발사 때부터 발사 운용, 그리고 4차 발사 때부터는 제작부터 체계종합기업이 좀 주도로 가고….] <br /> <br />4차 발사부터는 발사체 제작도 총괄하게 되는데, 6차 발사가 끝날 무렵에는 제작에서부터 발사 운용까지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대 시설이나 설비는 기존 나로우주센터를 이용할 계획이지만, 조립동은 기업의 공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정환 /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 : 조립동 같은 경우는 나로우주센터에서 조립할 수도 있고 기업 자체가 보유한 공장에서도 할 수가 있을 것 같은데 그 부분은 기업 선정 하면서 아마 결정을 해서 진행을 할 것 같고요.] <br /> <br />정부는 이런 과정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국내 발사체의 해외 진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민간 우주산업시대를 앞당길 체계종합기업 후보로 현재로서는 한국항공우주산업 카이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62317110514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