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작용 걱정에 쉽지 않은 도입…약품 수급난 재연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(22일) 나온 국내 첫 확진자처럼 해외입국자가 늘면 원숭이두창의 국내 전파 가능성은 충분합니다.<br /><br />치료제와 백신 확보가 그래서 중요한데요.<br /><br />국내 비축분은 부작용 우려가 크고, 새 치료제와 백신은 도입에 시간이 걸려 코로나19에 이어 또 한 번 약품 수급난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비축한 원숭이두창 대응 약품은 치료용 항바이러스제 100명분, 그리고 백신 3,500만여 명분입니다.<br /><br />양은 충분하지만, 문제는 질입니다.<br /><br />정부 보유 원숭이두창 치료용 항바이러스제는 시도포비어와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.<br /><br />바이러스 증식 차단 기능이 있어 원숭이두창 치료에도 쓰일 수는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본래 각각 에이즈 환자의 망막염과 천연두 치료제로, 원숭이두창에 대한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또, 항바이러스제는 특성상 부작용이 많은데, 원숭이두창에서는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된 바 없습니다.<br /><br />비축 백신도 전문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보유한 1, 2세대 백신은 효과 검증도 되지 않았을뿐더러 접종도 피부를 수십 회 긁는 방식이라 까다롭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도 부작용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어린아이들한테서 상당히 부작용 사례가 심할 수 있고요. 접종을 받은 성인의 아이들, 또는 면역 약한 환자가 주변에 있으면 원치 않게 감염이 될 수가 있거든요. 그 사람들은 위험해질 수가 있고…."<br /><br />정부는 신개발 치료제와 백신의 조속한 도입을 공언했지만,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유일하게 원숭이두창 백신으로 승인된 '임바넥스'는 세계적으로 수요가 많아 확보가 어렵고, 치료제 테코비리마트도 정부가 다음 달 들여오겠다고 했지만, 구체적 도입일은 미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원숭이두창 #백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