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2년 전 '월북'이라고 발표했다가 최근 번복한 해양경찰청 지휘부가 오늘 일괄 사의를 표명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인 만큼 사의를 수용할 수 없다고 반려했습니다. <br> <br>세월호 참사 책임을 물어 박근혜 정부에서 해체됐다가 문재인 정부에서 부활한 해경이 다시 위기에 처했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정봉훈 / 해경청장(그제)] <br>"국민과 유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… 사실상 월북 관련 혐의를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습니다." <br> <br>해양경찰청장이 대국민사과 이틀 만에 사의를 표명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정부 말 임명된 지 불과 여섯 달 만입니다. <br><br>"해경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새 지휘부를 구성하는 게 답이라며 사퇴 이유를 설명했습니다. <br><br>해경청장 외에 지휘부 8명도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당시 월북으로 판단된다는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던 윤성현 남해해양경찰청장도 포함됐습니다.<br> <br>[윤성현 / 남해해경청장(2020년 10월)] <br>"실종자는 정신적 공황 상태에서 현실 도피 목적으로 월북한 것으로…" <br> <br>해경 지휘부가 집단으로 사의를 표명한 건 조직 창설 이후 처음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즉각 "법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"는 입장을 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은 "순수한 뜻은 존중하지만 감사원 감사 등 진상 규명 작업이 진행 중인 만큼 일괄 사의는 반려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국회를 찾은 피살 공무원 이대준 씨 유족은 "지도부 사퇴로 끝날 일이 아니"라며 당시 해경 간부와 외압 의혹을 받고 있는 청와대 행정관 등 4명을 추가로 고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[김기윤 / 고 이대준 씨 유족측 법률대리인] <br>"(이 씨를) 발견하고 나서, 문재인 대통령에 보고하고 나서 죽을 때까지 시간 동안, 과연 6시간 동안 무엇을 했는지…" <br><br>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조직이 해체되는 치욕을 겪었던 해경이 공무원 월북 발표와 번복으로 또다시 깊은 수렁에 빠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오영롱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