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주는 지상보다 중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포나 단백질 수준의 실험 결과도 지상의 실험과 다르게 나옵니다. <br /> <br />우주산업이 앞선 나라들은 이런 현상을 활용해 우주에서 고순도 신약을 제조하거나 인공장기를 만드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, 본격적인 우주시대를 열고 있는 우리나라도 참고할 만한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구 상공 400km를 돌고 있는 국제 우주 정거장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기업 테크샷은 2020년 이곳에서 3D 프린터로 세포를 층층이 쌓아 심장근육을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상에서는 중력 때문에 세포가 납작하게 퍼져버리는데, 중력이 약한 우주 공간에서는 세포가 입체적으로 자란다는 특성 덕분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머크사는 우주 공간에서 고순도 면역 항암제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주에선 약물을 만들 때 생성되는 단백질 결정이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아 더 균질하고 순도 높은 약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또한 중력이 약한 우주 공간의 특성을 활용한 연구입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아스트라제네카와 일라이릴리도 무중력 상태를 이용한 신약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국제우주정거장 미국 국립 연구소는 2019년 이후 우주정거장에서 이뤄진 연구과제 62건 가운데 41건이 이 같은 '우주의학' 실험이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우주의학을 선도하는 나라는 미국과 이스라엘, 영국, 유럽 몇몇 국가입니다. <br /> <br />[윤학순 / 미국 노퍽주립대 교수 : 이들 나라가 우주의학이 발달한 건 우주 정거장에 접근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를 갖고 있어서 우주의학기술에 아주 빠르게 준비하고 기술발전을 이뤄나갔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발사체 기술 개발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우주산업으로 눈을 넓혀야 할 때라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문홍규 /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탐사그룹장 : 전통적인 위성체나 발사체 개발, 발사체 서비스는 전 세계적인 우주 시장에서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6% 미만입니다. 한국도 바이오나 우주 의학과 같은 신생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서 우주 시장을 넓히는 데 기여했으면….] <br /> <br />누리호 성공을 계기로 국내 우주산업이 탄력을 받고있는 가운데, 발사체 기술 개발을 넘어 새로운 우주 먹거리에 대한 고민도 절실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최소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62423271704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