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노총, 노동부 청사 앞 천막 농성 투쟁 시작 <br />한국노총·민주노총 "최저임금 연대 투쟁" <br />최저임금 차등적용·노동 유연화 등 도처 ’불씨’ <br />민주노총, 7월 2일 대규모 노동자대회 선포 <br />최저임금위, 시한 내 처리 의지 강해…노사 압박<br /><br /> <br />모레(29일) 최저임금 결정 법정시한을 앞두고 노동계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노총은 야외 농성에 돌입했고 민주노총은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는데, 올해도 막판까지 기세 싸움이 거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노총이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노동부 앞, 천막 농성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명 /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: (경제위기가 예상되는 만큼) 올해 반드시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통한 불평등 양극화를 막아야 하는 절체절명의 순간입니다.] <br /> <br />물가가 급등한 만큼 최저임금도 대폭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노총 역시 최저임금 결정 시한을 앞두고, 한국노총과 연대해 압박 수위를 높일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경영계도 원자잿값 폭등과 금리 인상으로 벼랑 끝에 몰렸다며, 최저임금이 오르면 일자리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저임금을 둘러싼 갈등은 매년 반복된 것이지만 올해 노동계 분위기는 좀 더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최저임금위 표결에서 부결된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의 불씨를 살려놨고 장 외에선 주52시간제 유연화 검토와 공공부문 구조조정, 직무·성과급 도입 등 노동계가 강력 반대하는 사안들이 연일 거론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민주노총은 당장 다음 달 2일, 박근혜 정부 이후 최대 규모의 집회를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화물파업에 이어 최저임금으로 다시 충돌한 노정이 이젠 전면전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전호일 / 전국공무원노조 위원장 :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은 한마디로 '재벌부자 천국, 노동자 서민 지옥'이다.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부의 정책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을 요구하기 위해 7.2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려고 한다.] <br /> <br />최저임금위 법정시한까지는 이제 두 번의 회의가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저임금위는 시한 내 처리 의지를 거듭 밝히며 노사 양측을 압박하고 있는데 최저임금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으면 늘 그렇듯, 7월 중순쯤까지 더 협상할 수도 있지만 공익위원들이 '심의 촉진구간'을 제시하고, 그도 안 되면 공익위원이 단일안을 내고 표결 처리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62716354734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