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유럽 안보를 논의하던 나토 정상회의에 한국과 일본 정상을 초청한 이유, 짐작은 했지만요. <br> <br>나토가 공식적으로 중국을 위협 국가로 처음 명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중국은 즉각 반발했고, 참석한 한국을 향해서도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 공태현 특파원이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 북대서양조약기구, 나토가 앞으로 10년 동안의 기본지침인 '전략개념'에 중국의 위협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옌스 스톨텐베르그 / 나토 사무총장(어제)] <br>"나토는 중국을 처음으로 다룰 것입니다. 우리의 안보와 이익, 가치에 대한 중국의 도전이 논의됩니다." <br> <br> 탈냉전 이후 10년마다 수정해온 나토의 전략개념에 그동안 등장하지 않았던 중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'구조적 도전'으로 명시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><br>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 안보를 위협하는 러시아를 '적'으로 간주하는 방안도 논의 중입니다. <br><br> 중국 정부는 즉각 반발했습니다. <br><br> 중국 외교부는 "낡은 안보관념을 고수하는 나토가 개별 국가의 패권 유지 도구로 전락했다"며 "낡은 술인 냉전적 사고를 새 병에 담는 '전략 개념'을 즉각 중단하라"고 요구했습니다. <br><br> 특히 중국은 이번 회의에 나토 회원국이 아닌 우리나라 등 4개국 참석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습니다. <br><br>우리 외교부는 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두고 특정 국가나 지역을 배제하거나 반대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고 밝혔지만, 중국 당국의 비판은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<br><br>공태현 베이징 특파원 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