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맹추격을 시작은 했지만, 현장에선 반도체 만들 사람이 없어 비상입니다. <br> <br>매년 3천 명이 부족하다고 하는데요. <br> <br>저희가 기업들 이야기를 들어보니, 부품 만드는 중소기업 인력부터, 연구 개발하는 대기업 고급 인력까지 다 부족하다고 합니다. <br> <br>김승희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반도체 재료 웨이퍼의 생산장비 부품을 만드는 중소기업입니다. <br> <br>지난 3년간 매출이 4배 뛸 만큼 급성장했는데 인력은 30% 가까이 부족합니다. <br> <br>[김용규 / 중소기업 대표] <br>"2년 전만 해도 구인 광고를 내면 한 50명 정도 지원을 했다고 하면 지금은 5명 정도? 바닥이죠." <br> <br>인력을 급하게 뽑았다가 매출이 4분의 1로 줄어드는 아찔한 경험도 했습니다. <br> <br>[김용규 / 중소기업 대표] <br>"외주 인력이나 부족한 인원을 급하게 뽑아 가지고 제작을 하다 보니까 그게 품질사고로 이어지고." <br> <br>경쟁 국가보다 높은 인건비는 또 다른 중견 반도체업체의 고민입니다. <br> <br>[반도체 후공정 중견기업 대표] <br>"경쟁 상대인 대만보다 (인건비가) 30~40% 비싸요. 일본보다 비싸고. 인원도 그렇고(적고) 인건비도 비싸고." <br> <br>대기업도 생산라인부터 연구 개발까지 전 분야에 인력이 없어 비상인 상황. <br><br>이공계 출신은 연봉을 더 주는 IT 기업을 더 선호하는데다 '초격차'를 유지하려면 해외 박사급 인력이 절실한데 고급 인력도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.<br> <br>[김정호 /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] <br>"워낙 미국에서 대우가 좋고 많이 뽑아가기 때문에. (지금도) 모자라는데 더 모자라는 거죠. 제조 인력도 필요하지만 고급 연구개발(R&D) 인력이 더 필요한 상황입니다." <br><br>해마다 부족한 반도체 인력은 3천여 명. 한 해 650명 정도인 반도체 전공자들로 채우긴 턱없이 부족합니다.<br> <br>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모두 대규모 공장 설립을 앞두고 있어 필요 인력은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> <br>반도체 강국에 걸맞은 인력난 해소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준희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