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박지현 민주당 전 비대위원장 대선 국면에서 이재명 의원이 발탁했고 스스로 ‘이재명만 보고 간다’했지만 불과 140일 만에 얄궂은 인연이 돼 버렸습니다.<br> <br>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에 출마하는 것은 부적절하다, 각을 세운데 이어 이번엔 아예 본인이 당대표에 출마하겠다 선언한 겁니다.<br> <br> 당내 기반도 미미한 20대 여성, 과연 당선 가능성은 있는 것인가, 출마가 적절한가 출마 요건은 되는가 민주당에선 파란이 일었습니다.<br> <br> 윤수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"민주당을 청년의 목소리를 듣는 정당으로 만들겠다"며 당 대표 출마를 공식화했습니다.<br><br>그러면서 "이재명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당내 계파 갈등이 보다 심해질 것"이라고 이 의원의 불출마를 압박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90년대 학번, 70년대생을 뜻하는 97그룹 중 한 명인 강훈식 의원도 오늘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했는데 역시 이 의원의 출마를 반대했습니다. <br> <br>[강훈식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 "(이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가) 적절하다고 판단했으면 제가 나오지 않고 도왔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당내에서 이 의원에 대한 견제가 거세지는 가운데 박지현 전 위원장의 출마 자격을 둘러싼 갑론을박도 벌어졌습니다. <br><br>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만이 당 대표 선거에 나갈 수 있습니다. <br><br>박 전 위원장은 SNS에서 ‘당무위원회 의결로 달리 정할 수 있다’는 단서 조항에 따라 처리하면 된다며 김동연 경기지사가 당무위 의결을 거져 지난 지방선거 때 경선 참여 자격을 얻은 사례를 예시로 들었습니다. <br><br>친이재명계인 김남국 의원은 "자신만을 위한 예외를 인정해달라니 너무 황당하다"며 "억지부리고 떼쓰는 정치 그만하라"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비대위는 일단 검토해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우상호 /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] <br>"당헌당규상 어떤 조항들이 있는지를 한번 검토하라고 지시를 했습니다. 보고를 듣고 비대위에서 한 번 논의해볼 그런 생각입니다." <br> <br>민주당은 박 전 위원장 출마 요건을 포함한 전당대회 규칙을 이번주 내로 결정해 발표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태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