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프로야구에서 글러브 색깔이 녹색이면 규정 위반이라는 사실,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?<br> <br> 심지어 어떤 초록색이냐에 따라서 또 다르다고 하는데요.<br> <br> 심오한 야구 규칙의 세계를 조현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><br>[기자]<br>초록색 글러브를 끼고 선발등판했던 키움의 정찬헌. <br> <br>3회 초가 되자 갈색 글러브로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정찬헌 (선수) 글러브가 녹색인데…" <br> <br>규정위반으로 심판이 교체를 지시한 겁니다. <br> <br>글러브가 잔디색과 비슷해 타자의 집중을 방해한다는 이유였습니다. <br> <br>일주일 전 SSG의 김광현도 녹색 글러브를 끼고 나왔는데, 규정위반 시비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김광현 선수의 패션이 남다른데요. 유니폼, 글러브, 스파이크(야구화) 다 세트로 맞췄어요. 아 멋있습니다." <br><br>같은 녹색이라도 밝기가 달랐던 겁니다. <br> <br>김광현은 정찬헌의 글러브보다 더 짙은 걸 썼습니다. <br><br>야구 규칙에는 모든 야수는 특정 색상 기준보다 밝은 색의 글러브를 쓸 수 없다고 명시돼 있습니다.<br> <br>녹색뿐아니라 다른 색도 마찬가지입니다.<br> <br>너무 밝고 요란한 색은 타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기준 색깔보다 밝은지, 어두운지는 한눈에 판단하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정찬헌이 글러브를 바꾼 것도 심판의 자체 판단이 아니라 상대팀의 항의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[정찬헌 / 키움 히어로즈] <br>"광현이 형이 녹색 글로브를 끼고 나왔더라고요. 써도 되나해서 오늘 들고 나와 봤는데 바꾸라는 신호가 와서…" <br> <br>규정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해프닝은 끊이지 않습니다. <br><br>지난 2005년엔 두산의 박명환이 머리 열기를 식히고자 모자 속에 넣은 양배추가 화제가 됐습니다.<br> <br>당시 KBO는 양배추를 이물질로 규정하고 소지를 금지시켰습니다.<br> <br>이른바 '양배추 퇴출' 사건이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천종석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