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 이어령 선생이 세상에 떠나기 전 병상에서 써 내려간 육필 원고가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야기꾼으로 생을 마치고 싶다던 그가 마지막 순간 남기고 싶었던 말은 무엇일까요?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■ 눈물 한 방울 / 이어령 / 김영사 <br /> <br />죽음을 마주한 순간 고 이어령 선생이 고른 생의 마지막 화두는 눈물 한 방울입니다. <br /> <br />평생 문명과 인간을 성찰해온 고인이 대립과 분열의 시대를 살아갈 우리에게 남기고 간 미래의 열쇠입니다. <br /> <br />[이승무 / 고 이어령 선생 아들· 한국예술종합대학 교수 : 죽음을 앞에 둔 한 인간의 애환이나 슬픔이 많이 담겨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실 것 같은데요. (아버님이 말씀하신 눈물은 본인을 위해 흘리는 눈물이 아니고) 인간이 남을 위해서 흘리는 눈물의 가치에 대해 말씀하셨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무려 160권의 저작을 쏟아낸 생이지만, 더는 쓸 수 없는 삶의 끝자락에서 눈물 한 방울은 희망의 씨앗이자 마지막 잉크였습니다. <br /> <br />[강인숙 / 고 이어령 선생 부인 영인문학관장 : 마지막에는 핸드라이팅도 안되는 거예요. 그러면 녹음을 하죠. 누워서. 글 쓰는 사람은 축복받은 사람이란 생각이 들어요. 왜냐면 마지막 날까지 어떤 방법으로든 자신의 내면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….] <br /> <br />병마와 싸워가며 힘겹게 써 내려간 눈물 이야기이지만, 대중에게 환영받을지는 모르겠다며 한숨짓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책과 철학, 클래식이 힘을 잃은 사회에서 자신이 발견한 진주가 아무런 울림을 주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염려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■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/ 김지수 / 열림원 <br /> <br />지난 2019년부터 화요일마다 제자 김지수 작가와 만나 나눈 대화록 '이어령의 마지막 수업'에선 이러한 고민에도 불구하고 왜 자신에게 남은 마지막 말이 '눈물 한 방울'인지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항암치료를 거부하고 죽음을 새로 사귄 벗 삼아 영원한 이야기꾼으로 남길 원했던 고 이어령 선생. <br /> <br />죽음과 유언의 레토릭으로 가득한 마지막 수업이지만, 그 안의 가르침은 역시 인간과 삶에 대한 답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故 이어령 선생 (지난 2020년 2월) : 마지막 내가 늙어서 할 수 있는 일은 교수도, 언론인도, 행정가도 아닌 이야기꾼으로 내 생을 마쳤으면 좋겠다….]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2070322411276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