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고공행진하던 국제 유가가 거의 두 달 만에 100달러 아래로 폭락했습니다. <br> <br>전쟁은 계속되고 원유 생산량도 그대로인데, 글로벌 경기 침체 공포가 확산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 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.75% 포인트 끌어올리는 이른바 '자이언트 스텝'을 단행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. <br> <br> 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인플레이션에 맞서 경기 후퇴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습니다. <br> <br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달 22일)] <br>"최근 몇 달 동안의 재정 상황의 긴축은 성장을 억제하고 수요와 공급의 균형에 도움이 될 겁니다." <br> <br> 그러나 경기 침체의 공포는 예상보다 빨리 다가왔습니다. <br> <br> 전 세계 생산 부진 우려가 확산되자,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치솟던 국제유가도 원유 수요가 줄어들 거란 전망에 제동이 걸렸습니다. <br><br> 서부 텍사스산 원유는 8% 넘게 떨어져, 두 달 만에 배럴당 100달러 아래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><br> 국제 금값도 2.1% 급락하는 등 원자재와 곡물 선물 가격도 하락했습니다. <br> <br> 경제 위기를 피부로 체감하는 미국 가정도 늘어 인플레이션이 가장 큰 우려라고 밝혔고, 10명 가운데 9명 정도는 나라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도 답했습니다.<br> <br> 유럽 경제 강국 독일도 수입 에너지 가격 상승과 수출 부진으로 통일 이후 30년 넘게 이어오던 월간 무역흑자가 처음 적자로 돌아섰습니다. <br> <br>[올라프 숄츠 / 독일 총리] <br>"한 가지는 분명합니다. 현재 위기가 몇 달 안에 지나가진 않을 것입니다." <br><br>물가 상승에 더해 경기 침체 우려가 연일 짙어지면서, 휘청이는 미국과 유럽 경제에 하반기 세계 경제까지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