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, 그동안에는 당시 문재인 정부에서 월북이 아닌 듯한 첩보를 무시했다는 의혹 정도였는데, 완전히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. <br> <br>국정원에 이어 군에서도 서욱 국방부장관 지시로 당시 기밀 정보를 삭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삭제 시점이 참 공교롭습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2020년 9월 21일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 이대준 씨가 서해 앞바다에서 실종되자 군 당국은 관련 정보 수집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이 씨를 발견한 북한 군의 내부 통신 감청 정보 등도 포함됐습니다. <br> <br>수집된 정보들은 합동참모본부의 군사통합정보처리시스템, 이른바 '밈스'에 등재되고 정보 공유됐습니다. <br> <br>국방부, 한미연합사, 작전사령부 뿐아니라 국가정보원 등도 밈스에 연결돼 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사건 발생 이틀 뒤인 23일과 24일사이 관련 SI 1, 2급 기밀정보 약 20건이 군사통합정보처리시스템에서 삭제됐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공교롭게도 23일 새벽 국가안보실장과 국정원장, 국방부 장관 등이 참석한 관계 장관 회의가 열렸고, 이튿날 정부는 자진 월북설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[신동삼 / 당시 인천해양경찰서장 (2020년 9월24일)] <br>"국방부 관련 첩보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자진월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…" <br> <br>유족 측은 자진 월북으로 몰아가기 위해 반대 정황 정보를 삭제한 것 아닌지 의심합니다. <br> <br>합참은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대상을 축소 조정한 것일 뿐 데이터 원본은 남아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[김준락 / 합참 공보실장] <br>"민감한 정보가 직접적인 업무와 관계없는 부대까지 전파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" <br> <br>애초에 극소수만 접근할 수 있는 밈스 정보를 왜 수일이 지난 뒤에 열람 대상을 축소했는지 등은 여전히 의문이 남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유족 측은 내일 서욱 전 국방장관 등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영수 <br>영상편집: 강민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