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검찰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> <br>고발 접수 하루만에 사건 배당을 마치고 수사에 착수했는데요. <br> <br>국정원 압수수색이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, 국정원도 이미 내부 감찰을 상당히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박건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가정보원이 서해 피격 사건 관련 첩보 보고서를 삭제한 혐의로 박지원 전 원장을 고발한 건 어제입니다. <br> <br>오늘 검찰은 이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 1부에 배당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전 정부의 '월북 조작 의혹'을 수사해온 부서입니다. <br> <br>탈북 어민 강제북송 사건 관련 서훈 전 원장 고발 사건은 공공수사 3부에 배당했습니다. <br> <br>검찰이 고발 하루 만에 사건 배당에 나서면서 두 전직 원장과 국정원에 대한 강제수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내부 보고와 지시 과정, 첩보 삭제 여부를 확인하려면 국정원 메인 서버를 압수수색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정보기관의 특수성을 고려해 국정원 협조를 받아 자료를 제출받는 방식이 유력합니다. <br> <br>국정원 간부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가능성도 높습니다. <br> <br>국정원은 지난달 1급 간부 27명을 대기 발령하고, 내부 감찰을 진행해 온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박 전 원장은 자료 삭제 지시도 없었고, 서버에 기록이 남기 때문에 삭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박지원 / 전 국가정보원장(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)] <br>"우리 직원들이 이런 짓 안 합니다. 과거 직원들이 다시 돌아왔다고 그래요. 자기들이 하던 짓을 지금도 하는 것으로 착각하고 바보짓을 한 겁니다." <br> <br>지난 2월 국민의힘은 "국정원이 대선을 앞두고 메인 서버 교체 계획을 세웠다"며 정치공작 증거 인멸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국정원은 사실과 다른 주장이라며, 올해 서버를 교체하지도 않았고 추진 계획도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건영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박건영 기자 chang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