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플레 부담에…결국 사우디 왕세자 만나는 바이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다음 주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왕따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던 왕세자를 결국 만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유가 안정이 급한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관계 개선에 나서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 류지복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이스라엘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합니다.<br /><br />사우디 순방은 2018년 10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악화한 이후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상황 변화가 없는 가운데 나온 전격적인 방문 결정이라 주목을 받았는데, 유가 안정 등을 고려한 참모들의 강력한 설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카슈끄지 암살 배후로 지목된 사우디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도 만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국제사회에서 '왕따'로 만들겠다고 공언할 정도로 바이든 대통령이 대립각을 세워온 인물이라 만남 여부가 최대 관심이었는데 결국 성사된 것입니다.<br /><br />백악관은 사우디 지도부와의 회담에 무함마드 왕세자도 참석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사우디 국왕과 왕세자를 만날 것으로 보입니다. 그러나 그것이 목적인 만남이 아니라 더 큰 회담 가운데 일부가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의 태도 변화는 물가 안정이 최대 국정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로 유가까지 급등하며 어려움이 가중된 상황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 견제 또 중동 내 이란의 영향력 억제를 위해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도 작용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대통령이 정치적 필요 때문에 인권을 외면하고 타협했다는 비판을 피해 가긴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 일부 민주당 의원과 시민단체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무함마드 왕세자를 만나선 안 된다고 주장하고 있고, 국내 정치적으로는 결과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단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류지복입니다.<br /><br />#조_바이든 #자말_카슈끄지 #인플레이션 #미국_경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