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정원이 전직 국정원장 두 명을 동시에 고발한 사건에 대해 검찰이 대규모 수사팀을 꾸렸습니다. <br> <br>해수부 공무원 관련 첩보 보고서를 삭제했다는 의혹을 받는 박지원 전 원장은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죠. <br> <br>하지만 국정원 자체 조사에서 박지원 전 원장이 내부 보고서를 삭제하라고 지시한 뒤, 삭제 여부를 확인까지했다는 관련자의 증언이 확보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송찬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가정보원은 박지원 전 원장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한 내부 보고서 삭제를 지시하고, 삭제가 됐는지 확인까지 거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국정원은 자체 TF조사에서 당시 보고서 작성 과정을 아는 다수의 국정원 관계자들로부터 이같은 증언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삭제된 것으로 알려진 내부 보고서는 군사정보통합처리체계, '밈스(MIMS)'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만든 '월북 가능성이 낮다'는 취지의 전자 문서 형식의 보고서인 것으로 여권은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앞서 국정원은 박 전 원장을 첩보 관련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한 혐의로 직권남용죄와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죄로 검찰에 고발했습니다. <br><br>여권 관계자는 "절차에 따라 국정원장에게 올라간 자체 보고서를 의무가 없는 직원에게 지시해서 삭제를 했기 때문에 직권남용죄를 적용한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<br>이에 대해 박지원 전 원장은 채널A 통화에서 "삭제를 지시했다면 그 내용도 메인 서버에 남아있을 것"이라며 "삭제했는지 확인한 적도 없다"고 부인했습니다.<br> <br>피격 공무원 유족은 검찰에 박 전 원장 구속 수사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[김기윤 / 피격 공무원 유족 측 변호인] <br>"(박지원 전 원장이) 주요 참고인인 국정원 직원들에게 진술 번복 등을 위한 심리적, 신분적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다고 사료됩니다." <br><br>검찰은 사실 규명을 위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사건 관련 수사에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와 3부 소속 검사 13명을 모두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오영롱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