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전후 최연소·최장수 총리' 아베…일본 우익의 상징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망한 아베 신조 전 총리는 일본에서 역대 최장수 총리로, 일본 우익의 상징적인 정치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과의 관계는 야스쿠니신사 참배, 한국 법원의 징용 판결 반발 등으로 인해 극도로 나빴는데요.<br /><br />건강 문제로 총리 자리에서 물러난 뒤에도 '상왕' 노릇을 하며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.<br /><br />정다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67세인 아베 신조는 두 차례에 걸쳐 총 8년 9개월 총리로 재임한 일본의 역대 최장수 총리입니다.<br /><br />외가와 친가 모두 유명 정치인 가문으로, 아베 전 총리는 어려서부터 A급 전범으로 전후 총리 대신을 역임한 외조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외무장관을 지낸 아버지 아베 신타로의 비서로 1982년 정계에 입문했고 1993년 아버지의 지역구를 물려받아 국회에 입성했습니다.<br /><br />2006년 52세에 '전후 최연소 총리'로 취임했다가 1년 만에 조기 퇴진했고, 5년 뒤 재집권에 성공해 '아베 1강'이라는 독주 체제를 이어가며 무소불위 권력을 행사했습니다.<br /><br />아베 전 총리는 헌법에 자위대를 명기하는 개헌을 필생의 과업으로 삼았지만, 여론 악화와 코로나19 확산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경제 측면에서는 '아베노믹스'를 앞세워 디플레이션 탈출을 시도했지만, 역시 코로나19 등 요인이 겹치면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극우 성향의 아베 전 총리는 재임 기간 일본 사회의 심각한 우경화를 불러왔고, 역사 문제로 한국과도 극렬하게 대립했습니다.<br /><br />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해 주변국의 반발을 샀고, "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은 털끝 만큼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"고 말해 한국을 자극했습니다.<br /><br />또 한국 법원의 일제 강제 동원 노동자 판결에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징용공 문제는 역사 문제가 아니라 국제법상 국가와 국가의 약속을 지키느냐의 문제입니다."<br /><br />그는 2020년 9월 퇴임 후에도 집권 자민당 내 최고 파벌인 아베파의 수장으로 '상왕' 노릇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자신의 후임인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현 총리를 만드는 데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, 필생의 과업으로 매달려 온 개헌과 방위력 강화를 앞장서 추진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. (smjung@yna.co.kr)<br /><br />#아베신조 #일본총리 #우익 #상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