천정부지로 치솟은 기름값…배 띄우면 적자?<br />[생생 네트워크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치솟는 기름값에 서민들의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바다에서 배를 이용해 생계를 유지하는 어민들은 물론 대형 선단을 보유한 해운사들도 요즘 배 띄우기가 겁난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어찌 된 일인지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, 지금 어디에 나와 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예, 저는 지금 부산공동어시장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요즘 이곳에 들어오는 고등어 등 생선 물량이 예전 같지 않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계절 영향도 있지만, 무엇보다 어업인들이 조업을 나가지 않는 게 가장 큰 원인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여러 척의 선박을 운용하는 대형 선망 업계의 경우 상황이 심각한데요.<br /><br />부산에는 17곳의 선단이 있는데 현재 3곳의 선단이 조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치솟는 기름값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출어기가 시작됐지만 일부는 조업을 아예 포기할 수도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대형선망 선단의 경우 본선 1척, 등선 2척, 운반선 3척 등 모두 6척으로 운영됩니다.<br /><br />이들이 하루에 쓰는 기름값만 3천~4천만 원 정도인데요.<br /><br />조업을 나간다고 하더라도 먼바다까진 못 가고, 가까운 연안에서 조업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이러한 현상은 결국 공동어시장 위판물량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산업 관계자의 얘기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어획물이 들어오는 게 적다 보니까 여기 종사하고 있는 항운노조 직원이라든지 주위 배송 차량, 창고라든지 가공 공장이 엄청난 타격을 받고 있고요. 실질적으로 어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고 시민 물가에도 상당히 영향을 미치지 않느냐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 기자, 그렇다면 기름값이 얼마나 오른 건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업인의 경우 면세유를 사용하는데요.<br /><br />업계에 따르면 7월 어업용 면세유 드럼당(200L) 가격은 29만4천 원 정도도 책정됐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이맘때보다 2.5배 이상 상승한 가격입니다.<br /><br />상황이 가장 좋지 않았던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때 23만 5천 원 정도를 기록했는데 이보다도 훨씬 높습니다.<br /><br />국내산 마른 멸치 생산량의 60% 이상을 책임지고 있는 남해와 통영의 경우 이번 달부터 금어기가 풀리면서 본격적인 멸치잡이에 나설 시기가 됐는데요.<br /><br />요즘에는 조업을 나가면 오히려 적자가 되는 상황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운업도 고유가의 부담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인데, 특히 국내 중소 해운사는 부담이 더욱 가중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급유선과 같은 관련 산업도 어려움에 봉착했습니다.<br /><br /> "선박들은 연료를 적게 먹는 게 아니고 한꺼번에, 예를 들어 부산에서 여수까지 가는데 600t 기준하면 20드럼정도 사용하면 돈이 얼마겠습니까. 조금만 올라도 부담되는데. 보충하기 위해서 용역비가 오르지 않으면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."<br /><br />농촌의 경우는 지금 당장 많은 양의 기름을 쓸 일이 없어 비교적 부담이 덜한 편인데요.<br /><br />그렇지만 고유가 현상이 지속하면 가을과 겨울, 비닐하우스 등에 난방을 땔 때 큰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