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일본 도자기 문화가 실은 조선시대에 끌려간 우리 도공들 손에서 꽃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죠.<br><br>그 후손이 무려 424년 만에 선조들 묘소를 찾았습니다.<br><br>‘일본인’이 됐어도 이상하지 않을만큼 긴 세월이지만 가문대대로 뿌리를 지켜왔습니다.<br> <br> 조현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제례 의복을 갖춰입은 남성이 묘소를 찾아 참배합니다. <br> <br>묘에 자란 잡초도 뽑습니다. <br> <br>1598년 정유재란 당시 의병 활동을 하다 일본으로 끌려간 심당길 선생의 후손 심수관 씨가 국내에 있는 선조들 묘소를 찾았습니다. <br> <br>무려 424년 만입니다. <br> <br>일본에서 지내는 동안 가문에 부끄러운 일을 한 적 없다며 눈물을 훔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감흥이 돼서 저도 이렇게 감동의 눈물이 섞이게 되네요." <br> <br>도공들과 함께 가고시마현에 정착한 심당길 선생은 일본을 대표하는 도자기 명가를 탄생시켰습니다. <br> <br>후손들은 전대 이름을 따르는 관습에 따라 본명 대신 15대째 심수관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5월 정부 초청으로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서 청송 심씨 일가를 만나 선조들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을 계기로 묘소를 찾게 됐습니다. <br> <br>[심수관 / 일본 도자기 명가] <br>"우리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얘기하셨습니다. '너는 절대로 외로움 느끼지 마라. 너 뒤에는 대한민국이 버티고 있다.'" <br> <br>400년 넘는 세월에도 뿌리가 있는 조국에 대한 애정은 식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심씨는 오늘 참배를 계기로 한국과 일본 친선에 가교가 되는 예술가가 되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