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로 북중 국경이 막히고 각국이 이동 제한을 실시하면서,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 들어오는 탈북민 숫자도 최근 2년 사이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탈북민들의 한국 사회 정착을 돕는 하나원도 현재 입소자가 크게 줄어들어 한산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홍주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까지 대한민국에 들어온 북한 이탈 주민은 3만 3천여 명. <br /> <br />특히 지난 2006년부터 2012년 사이엔 한 해 평균 2천 명 이상이 한국 땅을 밟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이후 입국자 수는 연평균 천 명대로 내려갔고, 무엇보다,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재작년부터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북중 국경이 봉쇄되고, 각국이 이동 제한에 들어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올해 개원 23주년을 맞은 탈북민 정착 지원 기관, 하나원도 입소자가 급감하며 전반적으로 한산한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한국 사회로 나가기 전 12주간 적응 교육을 꾸준히 진행하고, 하나원 과정을 이미 마친 탈북민을 다시 불러 직업 교육을 실시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권영세 / 통일부 장관 : 남과 북을 모두 경험해 본 사람들이, 그리고 그런 경험을 유산으로 받은 사람들이, 얼마나 소중한 통일의 자산이 될 수 있는지 모두 함께 증명해나가야 할 때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북한 이탈 주민의 고용률이나 임금 등의 지표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좀 더 고도의 직업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도와서, 일자리의 질을 높이고, 탈북민 가운데 위기 가구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사회 안전망을 촘촘하게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주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주예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71005320320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