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럽연합, EU가 지난주 원자력발전과 LNG, 천연가스발전을 녹색산업 분류 체계인 '그린 택소노미'에 포함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원전을 녹색 분류체계에 포함시키기 위한 우리 정부 움직임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녹색산업 분류체계인 '그린 택소노미'는 특정 기술이나 산업활동이 친환경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국제 기준입니다. <br /> <br />EU는 그동안 원자력과 LNG 발전을 '그린 택소노미'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지난 6일 택소노미에 원자력과 LNG를 포함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'과도기적 에너지'도 필요하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발휘했습니다. <br /> <br />[로베르타 멧솔라 / 유럽의회 의장 : EU 의회는 2022년 5월 9일 제출된 유럽 집행위원회의 규정안(원전·가스 녹색분류체계 포함)에 반대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단, 원전이 녹색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'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설' 계획을 세우고, 2025년까지 사고 저항성 핵연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EU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, K-택소노미 개정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현 정부는 이미 국정과제에 원전을 K-택소노미에 포함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K-택소노미 개정안 초안을 빠르면 이달 말, 늦어도 다음 달 초까지 내놓은 뒤 9월 중 확정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한화진 / 환경부 장관(지난 5월) : 원전은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서는 녹색 탄소원으로 분류가 되고 있고요. 원전을 운영하면서 생기는 그런 안전 문제 이런 부분들은 아주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EU가 조건으로 내건 '고준위 폐기물 처분 시설'이나 '사고 저항성 핵연료 사용'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007035289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