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동안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던 서울 강남의 초고가 아파트 단지에서도 하락 거래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본격화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 강남의 대표적인 초고가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최고가를 경신하던 하던 분위기가 바뀌고 있습니다. <br><br>지난달 초 전용 164제곱미터가 사상 최고가인 43억 5천만 원에 거래됐지만 3주 뒤에는 42억 5천만 원에 팔려 1억 원 떨어졌습니다.<br> <br>금리가 빠르게 올라가면서 부쩍 커진 이자 부담은 현금부자라고 예외는 아닙니다. <br> <br>[서울 강남구 공인중개사무소] <br>"(매수자들) 급매 나오면 연락달라 하세요. 지금 45억 원인데 42억~43억 원은 급매로 보지 않고 35억 원까지 떨어지면 사겠다." <br> <br>입주 4년째를 맞은 인근 개포동 신축아파트도 사정은 비슷합니다. <br><br>이 아파트 전용면적 59제곱미터는 지난달에 직전 거래보다 1억 4500만 원 떨어진 가격으로 거래됐습니다.<br> <br>지난달부터 강남에선 전용면적 40㎡ 미만 초소형을 제외한 37건 중 절반에 가까운 17건이 하락 거래였습니다. <br><br>7월 첫째 주 강남구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0.01% 하락해 넉 달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> <br>서울 외곽부터 시작된 하락세가 서초구를 뺀 전역으로 확산 된 겁니다.<br> <br>[권대중/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금리 인상에 따른 매수세 꺾임은 지역과 관계 없습니다. 부동산 시장 침체 시그널 때문에 하락 조짐이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." <br> <br>강남마저 꺾이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이 조정 내지는 하락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