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용 증가세 석 달 만에 꺾여…"증가폭 둔화 전망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취업자수 증가폭이 지난달엔 석달 만에 꺾였습니다.<br /><br />일상 회복 본격화와 공공부문 일자리 덕에 회복 흐름은 이어갔지만, 절반 이상이 노인 일자리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하반기부터 둔화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취업자수 증가세가 석 달만에 둔화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이 발표한 '6월 고용동향'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,847만8,000명입니다.<br /><br />1년 전보다 84만1,000명 증가했지만, 증가폭은 5월 93만5,000명에 비해 다소 줄었습니다.<br /><br />6월만 놓고보면 22년 만의 최대 증가라지만 재정으로 만든 직접일자리와 방역인력 등 공공 부문의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도 60세 이상 고령층 고용이 47만2,000명 늘면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경제의 허리로 꼽히는 30대와 40대 취업자는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임시근로자는 5만3,000명 줄어 16개월 만에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 보면 보건·사회복지서비스업과 제조업 등에서 취업자수가 증가했고, 금융·보험업과 도소매업 등은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15세 이상 고용률은 1.6%포인트 오른 62.9%로 통계 작성 후 6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고, 실업률도 3%까지 떨어지는 등 회복 흐름은 이어간 상황.<br /><br /> "일상 회복 본격화에 따른 대면 업종 개선 영향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했고,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앞으로가 문제입니다.<br /><br />기획재정부는 4분기 직접일자리 사업 종료 등으로 하반기엔 취업자 증가폭이 둔화하고, 내년에는 올해 크게 늘었던 기저효과까지 겹쳐 증가폭 둔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고용 #취업 #일자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