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, 취임 후 첫 중동행…에너지 안보·중동평화 논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늘(13일)부터 16일까지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합니다.<br /><br />중동을 찾는 것은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인데요.<br /><br />유가 급등으로 인해 물가 안정이 최우선 현안인 상황에서 최대 석유 수출국인 사우디의 협력을 구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취임 후 최초로 중동을 찾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방문 목표는 중동 국가와의 관계를 개선하고,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가가 치솟는 상황에서 석유수출국기구, OPEC의 원유 생산량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일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에서 "러시아의 침략에 맞서고 중국의 도전을 따돌리려면, 영향력 있는 국가와 직접 접촉해야 하는데 사우디는 그중 하나"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, 자신이 미군 주둔지를 제외하고 2001년 9·11 테러 이후 처음 중동을 방문하는 미국 대통령이며, 이스라엘을 통해 사우디 제다로 들어가는 첫 미국 원수라는 의미도 부여했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2018년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배후로 지목되는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의 만남이 주목됩니다.<br /><br />당시 사우디를 국제사회 '왕따'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던 바이든 대통령은, 이를 의식한 듯 순방 주요 의제 중 하나로 '인권'을 내세웠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의 가치들, 인권은 미국의 전략적 이익이며, 에너지 안보와 테러 방지, 예멘 같은 곳에서 평화를 찾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."<br /><br />사우디와 이란의 대리전 양상이라는 평가를 받는 예멘 내전의 휴전을 연장하고, 사우디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 유화적 노선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는 예맨 내전 민간인 살상을 이유로 중단했던 사우디로의 공격용 무기 수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으로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순방 기간 이스라엘 및 아랍에미리트, 인도 등과 4자 화상 정상회담을 갖고 식량 안보 문제를 논의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#사우디아라비아 #조_바이든 #미국 #중동방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