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정원 고발 일주일 만에 이뤄진 강제수사 <br />임의제출 방식으로 진행…서버 자료 등 확보 <br />검찰, 文 정부 ’월북 조작’ 여부 수사 본격화<br /><br /> <br />'서해 피격 공무원'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사건의 핵심 기관인 국정원을 압수수색했습니다. <br /> <br />'탈북어민 강제북송' 사건과 관련한 자료도 동시에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는데,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대북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한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손효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서해 피격 공무원'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국정원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이 사건 관련 첩보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한 혐의로 박지원 전 원장을 고발한 지 일주일 만에 이뤄진 강제수사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압수수색은 국정원이 영장에 적시된 자료를 임의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는데, <br /> <br />박 전 원장의 지시나 결재 흔적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원 서버 기록과 관련 자료가 주요 대상이 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검찰은 박 전 원장 등을 고발한 국정원 관계자를 불러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윤형진 국방부 정책기획과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국방부가 2년 만에 고 이대준 씨의 월북을 입증할 수 없다며 입장을 뒤집은 배경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사팀 인원도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검사 2명이 충원돼 모두 9명으로 늘어났는데 과거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에도 참여한 디지털 포렌식 전문 검사도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정원 메인 서버 압수수색도 염두에 뒀던 조치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'서해 피격' 사건으로 고발된 사람은 박 전 원장은 물론, 당시 국가안보실장이던 서훈 전 국정원장과 이광철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등 청와대 인사와 국방부·해경 전·현직 관계자들로 광범위합니다. <br /> <br />검찰이 이번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당시 문재인 정부 청와대와 국정원, 국방부 등에서 전방위적인 '월북 몰이'가 실제 존재했는지부터 가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압수수색에선 북송 당시 사진까지 공개된 '탈북어민 강제 북송' 사건 관련 자료도 확보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국정원은 박 전 원장과 함께, 탈북 어민들에 대한 합동조사를 강제로 조기에 종료시킨 혐의로 서훈 전 원장도 함께 고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탈북어민 사건 수사팀도 검사 1명이 파견돼 증원된 상태로, 압수수색 자료를 분석하는 대로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줄소환이 이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손효정 (sonhj07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319091958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