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 영부인 "전쟁에 익숙해지면 안돼…한국이 도와달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이 다섯 달째 이어지는 가운데 젤렌스키 대통령은 서방의 지원을 받으며 항전을 계속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부인인 젤렌스카 여사도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쟁의 참상을 전하며 퍼스트레이드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카 여사는 한국 언론과의 첫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와 비슷한 경험을 가진 한국이 도와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던 날 새벽.<br /><br />올레나 젤렌스카 여사는 남편인 젤렌스키 대통령이 곁에 없는 것을 알아챘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전쟁 발발 140여일이 지난 지금.<br /><br />남편과 떨어져 있지만 간간이 통화를 한다는 그녀는 가족과 헤어져 지내는 수백만의 우크라이나 어머니들을 생각하면 퍼스트레이디로서 내색을 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카 여사는 전쟁 이후 첫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상황이 두렵진 않느냐는 질문에 "가족은 적에게 두 번째 표적이라는 걸 알기에 두렵지만 침착해야 한다"면서 이같이 답했습니다.<br /><br />전쟁으로 퍼스트레이디의 역할이 완전히 바뀌었다는 젤렌스카 여사는 "무관심은 전쟁에 반대하는 행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접적 살인"이라며 "전쟁에 익숙해지면 안 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카 여사는 개전 이후 SNS와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쟁의 참상을 알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카 여사는 "우크라이나와 한국은 공통점이 많고 비슷한 경험을 했다"면서 "전쟁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 가치를 위협하고 실질적인 기아와 경기 침체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 일을 동떨어지고 무관한 걸로 묵살해선 안 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군사적·인도적 지원, 재건 프로그램 등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젤렌스카 여사의 최대 관심사는 전쟁으로 상처받은 어린이들입니다.<br /><br />"굶어 죽은 엄마의 무덤 옆에서 울고 있는 아이의 모습이 가장 슬픈 기억으로 남아있다"며 "우크라이나 아이들이 '잃어버린 세대'가 되게 하고 싶지 않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카 여사는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오는 23일 '퍼스트레이디·젠틀맨 서밋'을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.<br /><br />시나리오 작가 출신인 젤렌스카 여사는 동갑인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 8년간 연애 후 2003년 결혼해 17살 딸과 9살 아들을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미디언이던 젤렌스키 대통령이 현실 정치에 관심을 표명했을 때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_영부인 #젤렌스카_퍼스트레이디 #한국언론_인터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