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찰, 국정원 압수물 분석…군 '밈스' 담당자도 조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탈북어민 강제북송 의혹과 서해 피격 공무원 월북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(13일) 국정원을 전격 압수수색한 검찰은 압수물을 분석하는 한편 군 첩보 관리 담당자들도 불러 조사했습니다.<br /><br />박수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고발 일주일 만에 전격적인 압수수색에 나선 검찰은 국정원 메인 서버 자료 등을 확보하고 분석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박지원 전 원장은 공무원 피격 당시 첩보 관련 보고서 등의 무단 삭제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부인하며 '메인 서버'를 근거로 들었습니다.<br /><br /> "그 보고서는 제가 삭제하지도 않았고 삭제했으면 국정원에 그대로 남아 있어요. 메인 서버에."<br /><br />보고서를 삭제한 적도 없고 메인 서버에 남아 '삭제'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주장인데, 검찰은 압수물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동시에 또 다른 '삭제' 의혹을 받는 국방부의 정보 담당자들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피격 공무원 유족은 사건 이튿날 관계장관회의 소집 직후 군사통합정보처리체계, '밈스'에서 감청 정보 등의 기밀이 삭제됐다며 서욱 전 국방장관 등을 고발했습니다.<br /><br />군은 "정보의 원본이 삭제된 것은 아니"라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군사통합체계에 탑재된 민감한 정보가 직접적인 업무와 관계없는 부대까지 전파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한 것…."<br /><br />'삭제'가 아니라 '열람을 제한'했다는 취지인데, 검찰은 국방정보본부 소속 대령 등 3명을 상대로 문제가 된 정보의 기밀 성격과 처리 과정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서버에 남아있거나 열람을 최소한으로 제한한 것이라면 이를 '삭제'로 볼 수 있는지가 쟁점 중 하나인데, 삭제 논란이 인 자료에 '월북' 결론과 배치되는 내용이 담겼는지가 관건입니다.<br /><br />검찰은 당분간 압수물 분석과 보고 라인에 있던 국정원 직원 조사를 병행하는 한편 조만간 국방부를 상대로 자료 확보에 나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. (sooju@yna.co.kr)<br /><br />#탈북어민 #강제북송 #서해피격공무원 #월북조작 #국정원 #압수수색 #밈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