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코로나 상황이 위태로운데요. <br> <br>여러 지표에서 빨간불이 하나둘씩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는데요.<br> <br>확진자 대부분이 4차 백신을 맞은 환자라고 합니다. <br> <br>정부는 확진자가 좀 늘어도 치명률이 낮아서 관리가 가능하다고 해 왔는데요. <br><br>일주일 사이 사망자가 2배 늘었습니다. <br> <br>어제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켄타우로스 변이 바이러스도 심상치가 않은데요. <br> <br>자율방역으로만 재유행을 극복할 수 있을지 기로에 섰습니다. <br> <br>이혜주 기자가 첫 소식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통째 봉쇄돼 출입이 금지된 요양병원. <br> <br>지난 6일 간호사 1명이 확진된 후 오늘까지 종사자와 입소자 절반 이상이 무더기 감염됐습니다. <br><br>[보건소 관계자] <br>"7월 7일부터 코호트 격리(통째 봉쇄)가 시작이 됐고요. 확진자가 연일 30명씩 이렇게 나와서 지금 158명이 된 상태입니다." <br> <br>4차 접종도 감염을 막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확진자 10명 중 9명은 지난 3월 4차 접종까지 마친 상태였습니다. <br> <br>[병원 관계자] <br>"(4차 접종은?) 88% 맞았습니다. 확진자 중에는 88%라고요. " <br> <br>부산의 요양병원 2곳에서도 각각 64명과 18명이 코로나에 집단 감염됐습니다. <br> <br>재유행이 시작되면서 감염에 취약한 병원에서부터 집단감염이 시작된 겁니다. <br> <br>확진자가 늘면서 사망자 수도 증가세입니다. <br><br>최근 일주일 사망자 수는 103명으로 전주보다 2배 이상 늘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치명률이 올라가지 않는 한 요양병원 대면 면회 제한 조치 등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중증화와 치명률을 낮추겠다면서 가장 취약한 곳에 대한 방역 조치가 미흡하다고 비판합니다. <br> <br>[김우주/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요양병원의 집단 발생으로 무수한 중환자, 사망자가 속출했잖아요. 그러면 일단 면회 제한하고 출입 시에 검사 철저히 시키고 보호를 해야 될 것 아닙니까." <br> <br>이런 상황에서 전파력이 BA.5보다도 높다고 알려진 BA.2.75, 켄타우로스 변이까지 국내서 확인되면서 또다시 코로나 대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