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부산의 주점에서 식중독 의심환자가 무더기로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문제의 주점은 "역학조사 결과가 안 나왔다"며 최초 사고가 접수된 후에도 영업을 계속해서 피해가 커졌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부산 대학가에 있는 한 주점입니다. <br> <br>지난 5일 이 곳에서 식사를 했던 손님 7명은 설사와 복통 고열 등 식중독 증상을 호소하며 이틀 뒤 담당 구청에 신고했습니다. <br> <br>관할 구청은 식자재와 조리도구 등을 수거해 보건환경연구원에 식중독 검사를 의뢰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식당은 영업을 중단하지 않았고, 7일부터 사흘간 다녀간 손님들도 차례로 비슷한 증상을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식중독 의심환자는 51명까지 늘었습니다. <br> <br>모두 20대로 이 가운데 9명은 입원했습니다. <br> <br>식품위생법에 따라 식중독균이 확인되면 식당엔 영업정지 1개월의 처분이 내려집니다.<br> <br>문제는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곧바로 행정처분을 내릴 수 없어 늑장대응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관할 구청은 피해 확산을 우려해 잠시 영업 중단을 권유했지만 업주가 영업을 계속해 난감하다고 되레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[구청 관계자] <br>"(업주는)아직 결과가 안 나왔는데, 도의적 책임으로 문을 닫으면 그냥 식중독 발생 업소가 돼서 폐업 수준이 된다고." <br> <br>부산에선 최근 포장 음식을 먹은 중학생 8명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고 한 초등학교에선 햄버거를 먹은 학생에게서 대장균이 검출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