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삼계탕이 생각나는 복날, 초복입니다. <br /> <br />닭 요리를 하거나 먹을 때는 캠필로박터 식중독을 주의해야 하는데요, 특히 7월에 환자가 급증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펄펄 끓는 뚝배기 속 다소곳이 다리 모은 닭 한 마리. <br /> <br />부쩍 오른 가격이 부담되지만 복날엔 역시 삼계탕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여름철 삼계탕의 복병은 식중독입니다. <br /> <br />닭이나 오리의 내장에서 많이 발견되는 '캠필로박터 제주니'균이 식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간 캠필로박터 식중독을 앓은 사람은 천9백여 명. <br /> <br />2019년 잠깐 줄었다가 계속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(47%) 9백여 명은 초복이 시작되는 7월에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식중독의 원인이 밝혀진 980명 가운데 절반 이상(54%)은 닭과 오리 등 가금류를 포함한 육류 조리 음식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캠필로박터 감염은 생닭을 손질할 때 주로 일어납니다. <br /> <br />생닭을 만진 손으로 다른 식재료를 만지거나 생닭을 자른 칼과 도마로 채소 등을 자르면서 교차 오염이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닭 요리를 할 땐 채소와 다른 재료를 먼저 손질하고, 닭은 나중에. <br /> <br />또 닭의 속까지 완전히 익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중심온도 75℃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보관할 때도 냉장고라고 안심하면 안 됩니다. <br /> <br />[김성일 /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장 : 생닭에서 핏물들이 조금씩 나오는데 이게 이 핏물로 인해서 다른 식재료나 냉장고 안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뚜껑이 있는 밀폐 용지를 담아서 냉장고 맨 아래 칸에 보관하시도록 계도를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물은 끓이고 조리기구는 세척·소독을, 칼·도마는 재료 따라 구분해 쓰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식재료 보관온도를 지키는 것까지가 식중독 예방 6대 수칙. <br /> <br />누구나 알 만한 쉬운 얘기지만, 실천하지 않으면 누구나 식중독에 걸릴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. <br /> <br />YTN 기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71605264352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