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연일 무더위 속 에어컨 화재 '주의' / YTN

2022-07-16 6 Dailymotion

지난 6일, 제주시 주택서 에어컨 화재 발생 <br />5년 동안 에어컨 화재 1,168건 발생…6~8월 집중 <br />에어컨 실내외기 연결부 발화 위험성 실험 진행<br /><br /> <br />연일 푹푹 찌는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에어컨 없이 생활하기 어려운 요즘입니다. <br /> <br />에어컨으로 인한 화재도 잇따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화재 대부분이 전선 등 전기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경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건물 밖 에어컨 실외기가 검게 그을리고 날개는 녹아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테이프로 감아둔 에어컨 전선은 불에 녹아 끊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시 조천읍의 한 주택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때 이른 더위로 에어컨 사용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관련 화재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 사이 전국에서 발생한 에어컨 화재는 1천 1백여 건. <br /> <br />제주에서도 매년 2건 정도가 발생했는데, 여름철인 6월부터 8월 사이에 집중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7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에어컨 화재 원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적 요인이 75.4%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선끼리 꼬아서 연결해 둔 부분에 물이 묻거나 실외기가 돌아가며 연결 부위가 느슨해지면서 불이 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관련 실험을 진행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에어컨이 작동되고 실내외기 연결 부분에 열이 감지됩니다. <br /> <br />얼마 후, 순식간에 섭씨 150도 씨까지 열이 오르며 불길이 치솟습니다. <br /> <br />실험 결과, 에어컨 실내외기 연결부의 전선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높은 열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소방당국은 에어컨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규격에 맞는 배선을 사용하고, 전선 간 연결 부위는 압착슬리브를 사용해 단단히 고정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영두 / 제주소방안전본부 광역화재조사단 조사관 : (연결 부위가) 느슨해지면서 거기서 열이 발생하고 그 열로 인해서 절연 테이프나 전선이 녹으면서 화재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. 그런 연결 부위 마감을 할 때 전선 (연결) 슬리브나 전선 커넥터 같은 기구를 사용하시면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폭염으로 인해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 가운데 화재도 잇따르고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경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경임kctv (yerin718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71707074703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