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9~10월이 물가 정점?…길어지는 고물가 터널

2022-07-17 1 Dailymotion

9~10월이 물가 정점?…길어지는 고물가 터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출은 받았는데 계속되는 금리 인상에 밤잠 잘 안오시는 분들 많으시죠.<br /><br />금리 걱정을 덜려면 물가부터 진정돼야 하는데, 도대체 고물가가 언제쯤 잡힐지 경제 전문가들도 속시원한 답을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통제할 수 없는 변수가 그만큼 많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치솟는 물가를 잡겠다며 한국은행이 사상 처음 기준금리를 0.5%p 올렸던 지난 13일.<br /><br />한은 총재는 천장 뚫린 물가의 정점을 언제로 보냐는 질문에 3분기 말이나 4분기 초, 즉 9~10월이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단서를 달았습니다.<br /><br /> "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떻게 되고 러시아가 유럽에 가스 수출하는 것이 어떻게 될지 불확실성이 굉장히 큽니다. 그래서 사실 정확하게 언제가 될지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고…"<br /><br />전쟁이나 공급망 외에 어느새 1,326원을 돌파한 원·달러 환율도 복병입니다.<br /><br />환율이 오르면 수입품 가격이 더 뛰어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사정상 물가는 덩달아 뛸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약 열흘 뒤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격인 연방기금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는데, 더 심각한 자국 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번과 같은 0.75%p, 또는 더 큰 폭의 인상을 단행하면 양국 금리는 역전됩니다.<br /><br />외국인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쫒아 한국을 떠날 경우 환율이 더 오르면서 물가가 더 뛰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는 이유 중에 하나가 미국과의 금리차이를 되도록이면 적게 해서 돈이 많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서 환율을 좀 안정시키고자 하는 그런 목적이 있어요."<br /><br />한은이 초유의 빅스텝을 단행했지만 국내외 경제 상황은 물가의 정점을 점점 뒤로 후퇴시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저성장·고물가·고금리의 어두운 터널이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한국은행 #물가 #고금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