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중동 외교가 곤경에 처했습니다. <br><br>고유가 때문에 직접 사우디로 날아가 자존심까지 굽혔지만 원하는 약속은 끝내 받아낼 수 없었습니다. <br><br>복잡한 정세를 요약하면요 사우디에 뒤통수 맞자마자 이란에 협박마저 당했습니다. <br><br> 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취임 후 첫 중동 방문에서 원유 공급 확대에 의미를 뒀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우리는 글로벌 에너지 안보와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충분한 석유 공급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긍정적인 논의를 했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,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생각은 달랐습니다. <br> <br>[무함마드 빈 살만/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] <br>"사우디는 이미 최대 생산 능력치인 하루 1300만 배럴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. 추가 생산은 불가능합니다." <br> <br>사우디는 석유수출국기구(OPEC)와 비(非) 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'OPEC 플러스'에서 원유 공급 문제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비(非) OPEC 주요 산유국에는 러시아도 포함돼 있습니다. <br> <br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에너지 공급 위기의 해법을 중동에서 찾으려던 바이든 대통령의 구상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> <br>2018년,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빈 살만 왕세자로 지목하며 "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"던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이 갈등의 골이 된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중동 순방에서 이란의 핵 위협에 공동 대응하는 이른바 '중동판 나토' 구축을 구체화하려 했지만 이마저도 동참을 이끌어 내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이란은 도리어 정찰·수송·자폭 공격 등이 가능한 드론 전단을 공개하며 미국을 압박했습니다. <br> <br>중동 리더십을 강조한 바이든 대통령이 의구심만 남긴 채 빈손으로 중동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김지균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