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현재 대출 금리 상단이 6%대입니다.<br> <br>7%까지 오르면 무려 190만 명이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할 거란 전망이 나왔는데요. <br> <br>이자 장사 하지 말라는 대통령과 국회 경고에 시중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낮추겠다고 공언했었는데요. <br> <br>과연 금리는 내려갔을까요. <br><br>저희 강유현 기자가 오늘 이시각 시중은행 금리를 따져봤는데, 역시나 기대와는 달랐습니다.<br> <br>함께 보시죠.<br><br>[기자]<br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(지난 달 20일)] <br>"은행들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 등 오해 소지가 커지고 있습니다." <br> 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원내대표(지난 달 23일)] <br>"예금과 대출금리 차이로 과도한 폭리를 취했다는 비판이." <br> <br>지난달 정부와 국회가 은행들의 '이자 장사'를 질타하자 은행들은 속속 대출금리를 낮추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오늘 적용된 4대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를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주로 선택하는 변동형 대출의 금리 상단은 연 6.22%. <br> <br>한달 전 5.63%보다 크게 올랐습니다. <br> <br>반면, 수요가 적은 고정형은 상단이 연 6.53%에서 6.10%로 내렸습니다.<br><br>현재 가계대출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82.6%에 달합니다.<br><br>전세자금 대출과 신용대출 모두 한달 새 금리가 오르며 연 6%대를 뚫은 상황.<br> <br>영끌족의 한숨은 깊어집니다. <br> <br>[A 씨 / 신용대출 및 주택담보대출자] <br>"신용대출도 받고, 집 담보대출도 있는데 이자가 작년 말 대비해서 50만 원 이상 더 늘어나서. 물가도 너무 올라서 생활이 부담이 되고" <br> <br>은행들은 "금리 산정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올랐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올랐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또 정부 방침에 부응해 고정형 대출 상품의 금리를 내렸다고 했지만 생색내기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강형구 /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처장] <br>"금리를 내려도 대부분 금융소비자가 체감을 하지 못해 보여주기가 아니냐." <br> <br>금융당국은 은행들의 예대금리차를 공시하며 금리인하 압박 강도를 높일 계획이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수준으로 내릴지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유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