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더블링을 주도하는 건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빠르다는 BA.5 때문입니다. <br> <br>사실상 이제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는데요. <br> <br>BA5 같은 변이를 막기 위한 백신은 언제 나올까, <br><br>화이자와 모더나 쪽 이야기도 들어봤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스텔스 오미크론보다 전파력이 35%나 빠른 BA.5가 국내에서도 사실상 우세종으로 자리잡았습니다. <br><br>BA.5의 국내 검출률이 47.2% 한 주 만에 2배 치솟았습니다. <br><br>해외 유입까지 포함하면 52%에 이릅니다.<br><br>코로나에 두 번 걸린 사람은 7만 7천여 명, 세 번 걸린 사람도 백 명이 넘습니다.<br> <br>[고명철 / 서울 은평구] <br>"사람들이 아직까지는 괜찮겠지 하는 생각이 많은데 그게 가장 걱정스러워요." <br> <br>[차미숙 / 서울 강북구] <br>"확진자가 늘어난다고 하니까 4차 접종을 해야 하나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." <br> <br>지난 14일 처음 나왔던 BA.2.75, 일명 '켄타우로스' 추가 확진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PCR 검사 건수가 워낙 적어 찾아내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> <br>[박영준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] <br>"추가 발생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지역사회 활동 중에 무증상으로 전파됐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…" <br> <br>백신 접종이나 자연 감염으로 얻은 면역을 회피하는 BA.5가 유행하며, 개량 백신의 필요성도 커지는 상황. <br> <br>모더나 측은 조만간 식약처에 오미크론용 백신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 밝혔습니다. <br><br>모더나가 밝힌 예방 효과는 3차 접종자 대비 6.3배. <br><br>하지만, 식약처의 허가까지는 빨라야 40일이 필요해 9월은 지나야 하고, 예방 효과나 안전성 검증도 필요합니다.<br> <br>국내 접종률이 가장 높은 화이자는 올 가을 개량 백신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치명적인 변이가 나오지 않는 한 거리두기는 강화하지 않을 방침입니다. <br> <br>[백경란 / 질병관리청장] <br>"통제 중심의 국가 주도 방역은 지속 가능하지 못하고 또 우리가 지향할 목표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방역 당국은 백신 접종과 마스크 착용, 사적 모임 최소화, 재택근무 활성화 등을 권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정승호 김근목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