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밥상물가 대책으로 정부는 오늘부터 연말까지 수입산 닭고기 8만2500톤에 대한 관세를 없애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치킨값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을지, 김승희 기자가 따져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오늘부터 수입산 닭고기에 20~30%씩 붙던 관세가 없어집니다. <br><br>수입산 중 가장 많이 소비하는 브라질산 닭다리의 수입 가격이 1kg에 5천 원에서 약 4200원으로 떨어지는 겁니다.<br> <br>국산 닭 가격의 60% 수준. <br> <br>세금 인하 효과는 얼마나 될까. <br> <br>여름철 대표 보양식 삼계탕집을 확인해봤습니다. <br><br>"국내산 써야지 전문점인데. 얼었다 녹으면 닭 색이 달라요." <br> <br>"국산만 쓰죠. (수입산은) 다 큰 닭이기 때문에."<br> <br>국산 닭을 쓰기 때문에 한 그릇에 1만 5천원을 웃도는 식당 삼계탕 가격은 그대로일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국내 치킨 프랜차이즈들도 대부분 "국산 닭을 사용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일부 순살 치킨, 닭갈비, 치킨 너겟 등에 브라질산이 사용되는데, 업계 종사자들은 관세를 없애는 게 능사가 아니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[닭고기 유통업계 관계자] <br>"(식용유 같은) 다른 공산품들이 너무 많이 올랐거든요. (수입산) 원료육이 내렸다 한들 전체적인 효과를 보려면 나머지도 같이 내려줘야 치킨값이 떨어지지." <br> <br>대형마트 3사를 비롯한 일반 마트도 국내산 생닭만 판매하고 있는 상황. <br> <br>유통사 마진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소비자들은 관세를 없앤 효과를 체감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