때 이른 무더위와 마른장마까지 겹치며 감귤 열매가 떨어지는 낙과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열대야가 심했던 제주시 지역에서의 피해가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이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 시내 한 과수원 <br /> <br />과수원 여기저기에 작은 열매가 떨어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뭇가지에 달렸어도 이미 색이 바래 떨어질 열매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올여름 일찍 찾아온 폭염 탓에 감귤 낙과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시 농협에 따르면 이달 들어 낙과 피해를 신고한 농가만 340여 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농정당국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중순까지 제주지역 평균 기온이 예년에 비해 4~5도가량 높은 데다 밤까지 열대야가 지속되면서 수세가 약한 나무를 중심으로 낙과 피해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훈 / 제주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: 2차 생리낙과기에 6월 20일 이후에 열대야가 지속되고 비 오는 날씨는 적고 주간 고온으로 인해 감귤 나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서 양분 소모도 많아져서 2차 생리낙과량이 좀 많아졌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낙과 피해는 열대야가 길었던 제주시가 서귀포 지역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시 봉개동과 화북동, 삼양동을 중심으로 피해 신고가 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처럼 낙과량이 많은 것은 예년보다 비의 양이 적은 마른 장마 영향도 한몫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난달 23일부터 최근까지 내린 강수량은 평년보다 112㎜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같은 기간 낙과 피해를 신고한 농가는 4 농가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열매가 많이 떨어지면 남은 과실이 커져 비상품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농정당국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지만 이번 낙과 피해가 극조생 품종을 중심으로 나타나 올해산 전체 감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제한적이라고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kctv뉴스 이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정훈kctv (yerin718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72303013979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