곡물비축 늘리고 밀 생산 확대…'식량안보 강화' 추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와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한 세계적 공급망 교란이 물가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죠.<br /><br />특히, 먹거리 공급난이 심각한데요.<br /><br />세계 각국의 '식량 무기화'로 식량 안보가 위협받자 식량 주권 확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90년 43%를 넘던 곡물 자급률은 재작년 사료용을 포함해 20.2%, 30년 새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 식량 자급률도 70.3%에서 45.8%로 떨어지며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가입국 중 최하위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자급률은 갈수록 떨어지는데 곡물 수출국이 수출 제한 조치를 발동하면서 곡물가 폭등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, 2000년 51.4였던 세계곡물가격지수는 6월엔 사상 최고치인 160.9로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심화하는 식량보호주의와 식량 무기화에 정부는 민간기업을 통한 안정적 해외 곡물 공급망 확보에 나서는 한편, 소비량은 많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밀과 콩의 자급률을 높여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식량 주권 확보에 대한 것도 국정과제로 포함되어 있어서…현재 20년 기준으로 0.8%에 불과한 밀의 자급률을 27년까지는 7.9%, 콩의 경우는 40%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…"<br /><br />이를 위해 곡물 비축 단지를 조성하고, 정부 비축 확대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주요 곡물의 균형 비축을 통해서 전체 곡물 수요량의 일정량까지는 국내 재고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…민간 재고 확대를 유도함으로써 국가 정책 재고를 확대하는 방향으로…"<br /><br />정부는 연내 향후 자급률 목표치와 안정적 식량 확보 방안을 담은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곡물자급률 #식량안보 #식량주권확보 #식량무기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