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러시아가 독일로 향하는 가스관을 추가로 걸어잠그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 에너지 위기에 폭염까지 겹친 프랑스에서는, 문을 열고 에어컨을 가동하는 상점에 범칙금을 부과합니다. <br> <br>곽정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러시아가 독일로 향하는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의 터빈 하나를 내일부터 추가로 가동 중단합니다. <br><br>지난 11일 가스 공급량을 전체 용량의 40%로 낮췄고 이번에는 캐나다에서 수리된 터빈을 돌려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20%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겁니다. <br><br>혹독한 겨울을 앞두고 독일 정부는 가스비 급등으로 고통받는 세입자를 위해 월세계약 해지를 일정기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[로버트 하벡 /독일 경제부 장관] <br>"우리가 러시아에 너무 큰 권한을 부여해서, 가스로 독일과 유럽 전역을 협박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유례없는 폭염까지 겹친 유럽은 허리띠를 졸라맸습니다. <br><br> 프랑스 정부는 상점이 냉난방할 때 문을 열어놓는 것과 공항·기차역 외의 장소에서 심야에 조명 광고를 켜는 것을 금지하기로 했습니다.<br> <br>파리에서는 이미 범칙금 150유로, 21만 원 정도를 부과하는 조례가 통과됐습니다. <br> <br> 영업 시간 단축을 검토 중인 대형마트도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[미셸-에두아르 르클레르/르클레르 유통업체 CEO] <br>"(에너지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) 우리는 상점 문을 닫을 수도 있습니다. 나라 위해 싸우기를 망설이지 않을 겁니다." <br><br> 지난달 그리스는 공공건물의 온도를 26~27도로 제한했고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각각 25도·27도로 에어컨 설정 온도를 올렸습니다.<br><br> 독일과 오스트리아, 프랑스는 조명을 끄고 샤워 횟수도 줄이자는 캠페인도 벌일 만큼 러시아가 촉발한 에너지 위기가 유럽을 집어삼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곽정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최창규<br /><br /><br />곽정아 기자 kwak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