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르면 다음 달 우리 원전을 이집트에 수출하는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계약이 최종 성사되면, 우리 원전이 13년 만에 수출되는 겁니다.<br><br>이민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2009년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출 계약을 따낸지 13년 만에 한국수력원자력이 이집트에 새 원전을 짓는 수출 계약을 맺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원전이 들어설 장소는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에서 300km 떨어진 해안도시 엘다바.<br> <br>러시아 원전기업이 4개 원자로를 39조원 규모의 발전소를 짓는데, 우리 기업은 하청을 받아 원전 시공과 기자재 공급·설치 등을 <br>담당합니다.<br><br>수주 금액은 수조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러시아 원전기업과 한수원은 당초 지난 4월 계약을 끝낼 예정이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 사회의 대 러시아 제재가 이어지면서 미뤄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러시아 원전기업이 미국의 제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업계는 오는 8월 수출 계약이 마무리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> <br>수주 소식에 원전 협력업체들은 기대가 큽니다. <br> <br>[협력업체 관계자] <br>"이제는 아 장밋빛이 보인다. 저희 같은 경우는 당장 일(감) 필요로 하지만, 기대를 하고 있죠 전부 다. 이제는 대통령부터 시작해서 하니까 이젠 되겠다." <br><br>그러나 여전히 국내 원전기업들은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떨어진 경쟁력을 복구하는데 4년의 시간이 필요하다 예상했습니다. <br> <br>해외 수주에 성공해도 건설에는 수년이 필요한 만큼, <br> <br>정부가 공언한대로 국내 원전의 정비 수주를 통한 업계 살리기가 시급하단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