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김윤수입니다. <br><br>집권 여당이 갈 길을 잃고 헤매고 있습니다. <br> <br>사적 채용 논란에 대통령과의 문자 메시지 노출까지, 당을 수습해야 할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이 오히려 논란의 최정점에 서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친윤계 배현진 의원이 최고위원직에서 전격 사퇴하며 권성동 대행 체제를 흔들었습니다. <br> <br>일부 초선 의원들도 비상대책위 체제로 가자고 촉구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오늘은 내홍을 빚고 있는 집권 여당 소식을 집중 보도하겠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 소식, 윤수민 기자가 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이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 체제 대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띄우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선 현 지도부의 사퇴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당 지도부가 국민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다며 전격 사퇴했습니다. <br> <br>[배현진 / 국민의힘 최고위원] <br>"마땅히 책임져야하고 끊어내야할 것을 제때 끊어내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초래된다고 생각합니다. " <br> <br>사적채용 논란, 윤석열 대통령과의 사적 문자 유출 등으로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의 리더십이 도마에 오른 것을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준석계 최고위원들은 사퇴를 거부했고, 나머지 최고위원들은 거취를 고민 중입니다. <br><br>당내에서는 비대위 체제 출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김기현 의원은 SNS에 "비상시국에서는 비상체제로 가야한다"고 썼고, 권 대행 체제에 힘을 실었던 안철수 의원도 조기 전당대회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.<br> <br>[안철수 / 국민의힘 의원](BBS라디오'전영신의 아침저널') <br>"(권성동 대표 직무대행에 대한) 재신임이 안 되면 조기 전대로 가야겠죠.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." <br><br>일부 초선 의원들은 비대위 전환을 촉구하는 연판장을 돌렸고, 지도부에 전달했습니다.<br><br>대통령실도 권 대행 체제의 한계에 공감하고 사실상 비대위 체제를 수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신속하고 잡음없이 비대위로 전환해 대통령을 지원해줬으면 한다"고 전했습니다.<br> <br>국민의힘 일각에서는 최고위 해체 후 비대위 출범이 물리적으로 어렵게 되면 상임전국위를 열어 비대위를 출범시키는 방안도 검토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