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을 견제하고,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는 내용의 법안이 미국 의회를 통과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우리나라와 일본, 대만에 제안한 반도체 협력체인 '칩4'에 공을 들이고 있는데요. <br> <br>우리나라는 칩4 참여 검토와 함께, 중국의 반발을 의식해 중국을 달랠 전략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[낸시 펠로시 / 미국 하원 의장] <br>"찬성 243표, 반대 187표로 가결 처리 됐습니다." <br> <br>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법이 미 상하원에서 모두 통과돼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만 남겨 놓은 상황입니다. <br><br>법안은 우리 돈 365조 원을 들여 미국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는 내용입니다. <br> <br>지난해부터 추진된 '대중국견제법'이 모체입니다.<br> <br>특히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게 25%의 세금 공제 혜택을 주는 내용도 담겨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들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사실상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, 대만에 제안한 반도체 동맹, 이른바 '칩4' 구상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><br>최근 방한한 빅토리아 뉼런드 미 국무부 차관이 이도훈 외교부 2차관과의 면담에서 '칩4'의 공식 명칭으로 '반도체 공급망 회복 탄력성 대화 워킹그룹'을 제안한 것으로 채널A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.<br> <br> 중국의 반발을 의식해 배타적 의미의 '동맹' 대신 열린 협의체로서의 '대화'를 택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[박진 / 외교부 장관] <br>"중국이 만약 여기에 대해서 오해를 한다면 그것을 미리 사전에 해소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 우리 정부는 한국의 참여에 반발하는 중국에 대해서는, 첨단 산업이나 디지털 산업 등 중국과 다양한 협력 분야를 염두해두고 한중 공급망 강화를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