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른장마와 무더운 날씨 탓에 낙동강은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악취는 물론 독성물질까지 확인돼 주민들의 수돗물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윤재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구 달성군을 휘감고 흐르는 낙동강. <br /> <br />강 가장자리 녹색 띠가 선명합니다. <br /> <br />강물을 떠보니 온통 녹조 알갱이만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지류가 흘러드는 곳은 더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낙동강 본류와 샛강이 만나는 지점입니다. <br /> <br />강물이 거의 흐르지 않고 고여있는데요. <br /> <br />나무로 물속을 휘저어 봐도 강바닥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녹조가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녹조로 생긴 악취로 주민들도 고통을 호소합니다. <br /> <br />[김윤한 / 대구 달성군 구지면 : 냄새가 아주 역합니다. 분뇨 처리장 주위에 있는 것 같은 그런 기분이 들 정도로…. 물이 썩었다는 걸 느낄 수 있을 만큼 위에 부유물도 많이 뜨는 것 같고.] <br /> <br />녹조가 확산하면서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 물질도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로시스틴은 200여 가지로 세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일부는 간이나 신장 등에 영향을 주는 거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정수근 /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 : 녹조가 더 심할 때 그때 수돗물을 채취하면 세계보건기구(WHO) 기준인 1ppb도 넘어갈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대단히 심각한 상황으로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환경 당국은 마이크로시스틴은 종류별로 독성에 차이가 있고, WHO 즉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맞춰 인체에 유해한 네 가지 종류를 정밀 분석한 결과 기준치 이하로 검출됐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수돗물 안전에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김정섭 /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장 : 정수 처리 공정에 여러 가지 투자를 많이 해서 현재 고도 정수 처리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시민들이 음용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도록 운영해 나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일찍부터 기승을 부린 더위에 평년보다 적은 강수량 탓에 녹조는 예년보다 빠르게 또 넓게 확산했습니다. <br /> <br />안전하다는 당국의 설명에도 퍼져가는 녹색띠를 보는 낙동강 지역 주민들의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72922040056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