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세계 각국이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 상황, 캐나다도 예외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급기야 물가 상승률이 39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하자, 한인 사회도 걱정이 매우 큰데요. <br /> <br />캐나다 김옥선 리포터가 현지 동포들의 상황을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샌드위치 가게를 운영하는 김상동 씨는 최근 16년간 지속해 온 사업이 힘에 부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원재료 가격이 크게 올라 수중에 남는 돈이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상동 / 캐나다 캘거리 : 매출도 팬데믹 이전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에서 물가가 올라서 지금 재료비 원가가 (판매 가격의) 50%에 육박하다 보니까 많이 힘든 상태입니다.] <br /> <br />실제 캐나다의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6월보다 8.1%나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39년 만에 가장 큰 폭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대비 임금 상승률 5.2%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즉, 실질 임금은 크게 줄어든 셈이어서, 한인들은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규나 / 캐나다 캘거리 : 혼자 가서 밥을 먹어도 예전에는 10~13달러 내면 먹을 수 있었던 것이 요즘에는 팁 포함해서 20달러 가까이… (장 볼 때도) 예전에는 뭐 먹고 싶은 것 있으면 과자나 이런 것 골랐다면 요즘에는 자제하는 편이에요.] <br /> <br />[이 에리카 / 캐나다 캘거리 : 기름값이 지난해에 비해서 딱 두 배 정도 오른 것 같아요. 작년보다는 두 배로 오르니까 굉장히 기름 쓰는 게 부담되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아요, 주유할 때마다.] <br /> <br />[황태환 / 캐나다 캘거리 : 임대료도 계속 오르고 있어서 집을 구하는 것도 되게 어려워졌어요. 집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고 계속 내야 할 것들은 (똑같이) 나가는데 아무래도 그런 (물가 오르는) 것이 확 체감되는 터라 요즘에 (물건) 사는 것도 덜 사게 되고…] <br /> <br />문제는, 앞으로도 물가 상승이 더 예고돼 있다는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캐나다 낙농위원회가 9월부터 유제품의 평균 출고가를 약 2.5% 올리겠다고 발표해, 유제품의 소비자가격은 더욱 오를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1%p 올리는 이른바 '울트라 스텝'을 단행하면서 기록적인 물가 상승세가 수그러들지, 동포 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캐나다 캘거리에서 YTN 월드 김옥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옥선 (kwonjs101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73103132661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