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부터 코로나에 걸린 고령층들 진료 방식에 변화가 생깁니다. <br> <br>검사, 진료, 처방을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원스톱진료기관이, 그동안 하루에 한 번 몸상태를 확인하던 전화 모니터링을 대신한다는데요. <br> <br>다소 생소한 원스톱진료기관이 뭔지, 김용성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><br>[기자]<br>재택치료 중인 60세 이상 고위험군에게 병원이 하루 한 번 직접 전화해 몸 상태를 점검하는 제도가 폐지됐습니다. <br> <br>대면 진료로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[이기일 / 보건복지부 제2차관(지난달 29일)] <br>"빨리 처방을 하고 빨리 치료를 하고 그게 제일 좋다는 의견이 있기 때문에…. " <br><br>고령층과 고위험군도 이제 일반관리군과 마찬가지로 검사, 진료, 처방이 가능한 '원스톱진료기관'을 직접 찾아야 합니다. <br><br>전국 8800여 개가 있는데,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하거나 '코로나19'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어르신들은 '원스톱진료기관'이라는 이름부터 낯설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홍재창 / 서울 종로구] <br>"(코로나 원스톱 진료센터가 뭔지 아시나요?) 잘 모르겠습니다. " <br><br>[김효중 / 서울 도봉구] <br>"휴대폰은 잘 안 나오더라고 표시가 잘 안돼. " <br> <br>우리 동네 원스톱진료기관을 어떻게 찾아야 할지. <br> <br>[현장음] <br>"번호를 쳐야 하나요?" <br> <br>지도 속 작은 글씨를 알아보기 어렵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동사무소가 우리 입장에서는 제일로 빨라. " <br> <br>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원스톱진료기관보다 숫자가 많지만, 대면진료가 안 되는 경우가 있어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. <br><br>[A 의원] <br>"네. 직접 오시는 건 안 되고요. " <br> <br>[B 의원] <br>"진료는 안 되고 비대면으로 할 수 있어요."<br> <br>방역당국은 동네 병의원이 문을 닫는 주말이나 야간에 재택치료 중 아프다면 지자체별 24시간 의료상담센터로, 위급한 상황의 경우 119나 보건소로 전화하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임채언, 권재우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