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BA.5' 우세종됐다…고령층 확진 비중도 증가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존 변이보다 전파력이 빠르고 면역 회피 특성이 강한 BA.5 변이가 국내에서 우세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감염재생산지수는 소폭 감소하며, 신규확진 증가세가 둔화한 양상을 반영했는데요.<br /><br />중증 위험이 높은 고령층 확진이 늘고 있는 점은 우려됩니다.<br /><br />신새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BA.5 변이의 검출률이 60.9%로, 국내에서도 우세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둘째 주 처음 국내 확진자가 나온 뒤 11주 만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유행한 오미크론은 8주, 이전 델타 변이는 14주 만에 우세종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BA.5의 전파 속도가 빠르고 면역 회피 특성도 강하지만, 중증도가 더 높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BA.2.75 일명 '켄타우로스' 변이 역시 우려했던 것만큼 감염 사례가 폭증하지는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중증 위험이 높은 고령층 확진과 요양병원ㆍ시설 내 집단감염이 늘고 있는 것이 우려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 "감염취약시설 발생 그리고 집단발생의 증가 추세의 영향으로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의 확진자 규모와 비중이 모두 증가했습니다. "<br /><br />1일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11만 1,789명으로 지난 4월 말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해외유입은 568명으로 역대 최다를 보였고,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282명입니다.<br /><br />일주일 단위로 보면 증가세는 다소 주춤하면서 감염재생산지수도 한 주 전보다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상승세가 둔화하였을 뿐 여전히 신규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,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#코로나신규확진 #BA.5우세종 #코로나변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